1. 프로젝트 생성Spring Initializer 페이지(https://start.spring.io/)에서 다음과 같이 dependency를 추가한 후 Generate 버튼을 클릭한다. 본인은 Spring Boot 3.4.0 버전을 사용했다. Group과 Artifact 명은 자유롭게 지정해주면 된다. IntelliJ -> Open -> 생성한 프로젝트 폴더 -> build.gradle을 클릭한다. Database를 연결한다. 본인은 MySQL을 사용했다. 원래 application.yml 파일에 DB 관련 설정을 추가하는 편이었는데, 인텔리제이를 업데이트한 뒤로 인텔리제이 내에서 DB를 사용하고 있다. 2. 초기 설정Settings -> Build, Execution, Deployment ->..
본격적인 개발에 들어가기에 앞서 원활한 협업을 위해서는 현재, 그리고 앞으로 구현될 API를 명세할 필요가 있다. 그럼 Notion에 일일히 정리해야 하는가?🤔 이 방법은 너무 비효율적이라는 생각이 들었다. 따라서 Swagger 배포 및 자동화 방법을 모색해봤다. 1. Swagger 배포를 위한 여러가지 방법(1) GitHub PagesGitHub에서 제공하는 무료 정적 사이트 호스팅 서비스Swagger UI의 dist 폴더를 리포지토리에 업로드하고 GitHub Pages로 설정하면 간단히 배포할 수 있음 (2) Netlify정적 웹사이트 배포에 특화된 플랫폼Swagger UI 파일을 업로드하면 자동으로 배포됨 (3) SwaggerHubSwagger의 공식 클라우드 서비스로, OpenAPI 스펙 작성 ..
1. '오늘 뭐 먹지?'를 개발하게 된 계기 4학년 1학기 캡스톤디자인 프로젝트를 시작하기에 앞서 어떤 서비스를 만들지에 대해 고민했다. 현재 흔하게 존재하지 않으면서도, 사람들의 일상 속 고민을 덜어줄 수 있는 서비스를 제작하고 싶었다. 그러다 "메뉴 선정을 해결할 수 있는 서비스는 어떨까?"라는 생각이 스쳐갔다. 실제로 필자는 매일 하는 고민이기 때문이다.🤔 해당 아이디어를 팀원들에게 설명하기 위해 간단한 UI를 제작했다. 참고로 나는 디자인에는 정말 소질이 없다,, 팀원들이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만 제작했다는 점을 참고했으면 한다. 초기에 기획했던 서비스의 흐름은 채팅방 내에서 사용자들끼리 메뉴를 함께 고민하고, 투표를 하면 선정된 메뉴가 메인화면에 반영되는 것이었다. 이외에 메뉴..
내 블로그 - 관리자 홈 전환 |
Q
Q
|
---|---|
새 글 쓰기 |
W
W
|
글 수정 (권한 있는 경우) |
E
E
|
---|---|
댓글 영역으로 이동 |
C
C
|
이 페이지의 URL 복사 |
S
S
|
---|---|
맨 위로 이동 |
T
T
|
티스토리 홈 이동 |
H
H
|
단축키 안내 |
Shift + /
⇧ + /
|
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